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성미생물 평양 공동선언으로 힘을 받고 있는 백신 테마주 신 남북경협주로 등극
    주식이야기/종목 스토리 2018. 9. 19. 14:36
    반응형

    대성미생물 창립이후 오십년동안 축적해온 기술로 현재 150여종의 각종 동물용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는 백신 테마주인데 오늘 두 정상들이 평양에서 모여 평양 공동선언문을 밝혔는 이 내용 중에 남북 방역 및 보건 의료 분야의 협력 강화가 포함되어 있어서 신 남북경협주로 등극해 현재 오후 1시 50분 기준으로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해 상한가 29.95% 상한가 잔량 16만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백신 테마주인 대성미생물 거래량을 체크해 보면은 전일 종가대비 12배라는 급등 수치인 대량 거래량을 유지되고 있고 지금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투자자별 매매동향도 요약해 보면은 한달 누적 기준 외국인 순매도세 177만주 기관 순매도세 7만주 사모펀드 7만주 기타법인 순매도세 202만주 내외국인 순매수세 1만주 개인 순매수세 374만주 기록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 남북경협주의 대장주인 대성미생물 강력한 매수세 유입으로 현재 일봉 차트상에 아랫꼬리를 단 장대양봉으로 우뚝 솟아 올라있고 분봉추세상 단기 중기 모두 양호한 정배열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기대가 되는 종목입니다.

    평양 공동선언 수혜주인 대성미생물 올 1월부터 현재까지 일봉차트 흐름을 전체적으로 파악해 보면은 정초부터 특별한 움직임이 없이 횡보하다가 1월 17일에 최저가 만이백구십원을 기록한 후 반등해 상승후 조정으로 횡보세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2월 20일에 종가기준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해 강력하게 반등해 27일까지 유지해 최고가 이만육천오백육십칠원을 기록한 후 무너져 3월 8일에 다시 추세가 전환됬지만 다시 주춤거리다가 다시 반등해 4월 18일 최고가 이만구천구백삼십원을 기록했습니다. 그 이후 다시 하락세로 쭉 이어져 8월 14일까지 이어졌는데 중간에 5월 16일에 액면분할 변경 상장을 거쳤습니다.

     

    그리고 힘을 받아서 8월 16일부터 반전해 상승추세로 이어졌고 28일에 장중에 22.99%라는 급등세도 기록했습니다. 이후 다시 횡보하다가 백신테마주인 대성미생물 9월 10일 메르스 확산이라는 호재에 급등해 최고가 이만칠백삼십원을 기록했지만 더 이상 확진자가 발견되지 않아 다시 파란 음봉 행렬이 연속으로 이어지다가 오늘 평양 공동선언문 발표로 다시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해 상한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힘을 받고 있는 대성미생물 올 2분기 실적공시도 요약해 보면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0.9% 하락한 67억원 영업이익 16.7% 감소한 8억원 당기순이익 3.4% 감소한 8억원 시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수치는 최근 4분기 연속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고 매출액은 지난 3년 평균 분기 97%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현재 대장주에 등극한 대성미생물 연루되어 있는 테마명을 좀 더 살펴보면은 평양 공동선언 수혜 테마주 백신 테마주 남북경협 테마주 진단시약 테마주 메르스 테마주 방역 테마주 AI 테마주 구제역 테마주 광우병 수혜 테마주 신종플루 테마주 등에 연관되어 있고 지난달 8월 27일에 아프리카 돼지 열병 바이러스 유전자 국내 첫 검출되어 급등세가 3거래일 연속 유지된 이력과 함께 이달 9월 10일엔 3년만에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으로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한 상한가 이력도 있는 종목입니다.

     

     

    그리고 현잰 3차남북정상회담 결과인 평양 공동선언문 수혜주로 부각된 대성미생물 신 남북경협 테마주 대장주로 등극해 그 급등세를 유지하고 있는 핫한 이슈 재료로 시장에 부각되고 있는 종목입니다. 그래서 더 주의를 갖고 분석해 보면 좋을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인 일봉차트상 현 주가 상태는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니깐 냉정한 객관적인 입장을 유지한채 관심을 갖고 탄력적으로 대응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